Surprise Me!

[팩트맨]‘화장지 구하기 열풍’ 왜 불고 있나?

2020-03-16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현장음(지난 7일, 호주 시드니)] <br>"화장지 한 팩만 달라니까요." <br>"싫어요. 한 팩도 안 줄 거예요." <br> <br>손 소독제와 마스크 말고도 미국, 호주, 일본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동난 제품이 하나 있습니다. <br> <br>바로 화장지인데요. <br> <br>해외에선 '화장지 게이트'로 불릴 만큼 사재기로 인한 품귀 현상이 심각한데, 왜 이런 현상이 빚어진 건지 따져보겠습니다. <br> <br>먼저 화장지 수요가 폭증하는 데 한몫을 한 소문이 있습니다. <br> <br>"화장지가 마스크와 같은 원료로 만들어진다", "중국에서 대부분의 화장지를 생산해 중국이 수출을 멈추면 구하기 어렵다"는 건데요. <br> <br>하지만 화장지 원료, 마스크 생산 원료와 전혀 다릅니다. <br> <br>화장지는 펄프로 생산하는 반면, 보건용 마스크는 폴리프로필렌 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집니다. <br> <br>대부분의 화장지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는 건 맞는 얘기일까요? <br> <br>일본은 98%의 화장지를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고, 미국과 호주 역시 각각 국내 화장지 소비량의 90%, 80% 이상을 자체 생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거짓 정보가 빠르게 퍼져나간 이유, 미국과 호주 등의 물리적 환경과 일본의 1973년 오일쇼크 경험에서 비롯됐다고 보는데요. <br> <br>[이은희 /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] <br>"유통 기관과 가정들과의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 등이 있을 경우 생필품이 떨어져서 곤란을 겪었던 경험들이 있기 때문에 사재기하는 현상을 볼 수가 있습니다." <br> <br>해외 지도자들도 "재고가 충분하다"고 설명하고 있지만 이미 확산된 두려움과 불확실성 탓에 사재기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종합하면 세계 각국에서 퍼져나가고 있는 "화장지 생산 능력이 떨어져 대란이 올 것"이라는 소문, 거짓에 가깝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사항은 팩트맨에 제보 부탁합니다. <br> <br><팩트맨 제보 방법> <br>-이메일 : saint@donga.com <br>-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 <br><br>취재:성혜란 기자 <br>연출·편집:황진선 PD <br>구성: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:권현정, 유건수 디자이너<br>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